능소화를 아시나요?
금등화金藤花라고도 불리는 능소화는 그 옛날 양반집 마당에서만 심을 수 있었다고 하여 ‘양반꽃’이라고도 불리는 능소화는 중국이 고향인 덩굴성 식물입니다. 고목나무에 새순이 돋는 봄이면 능소화 가지에서 잎이 나기 시작하고, 여름나기에 지칠 즈음이면 늘어진 자루에 나팔처럼 싱싱하게 고개를 쳐든 탐스런 꽃을 피워 내지요. 그래서 서양에서는 능소화를‘차이니즈 트럼펫 클리퍼’라고 부른답니다. 그런데 능소화에는 당당해 보이는 꽃 모양과는 달리 슬픈 전설이 서려 있답니다.
옛날‘소화’라 불리는 어여쁜 궁녀가 있었는데 임금의 눈에 띄어 하룻밤 사이에‘빈’의 자리에 올랐다고 합니다. 그런데 어찌된 영문인지 임금은 그날 이후 소화의 처소에 한 번도 찾아오질 않았다고 해요. 착하고 여린 소화는 다른 빈들의 시샘과 음모로 궁궐의 가장 깊은 곳에서 기거했다고 합니다. 그것도 모른 채 소화는 임금이 찾아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렸지요. 혹시나 임금이 자기 처소에 가까이 오는가 싶어 담장을 서성이고, 발소리라도 들을 수 있을까 해서 귀 기울이고, 그림자라도 비치지 않을까 싶어 담장 너머를 바라보면서 말입니다.
그렇게 기다림에 지친 가엾은 소화는 하염없이 애를 태우다 상사병에 걸렸는지 그만 시름시름 앓게 되었답니다. 결국‘담장 가에 묻혀 내일이라도 오실 임금님을 기다리겠노라!’는 유언을 남긴 채 세상을 뜨고 말았다고 합니다. 구중궁궐의 잊혀진‘빈’인지라 장례조차 치루 지도 못하고 시녀들의 도움으로 그녀의 뜻에 따라 담장에 묻혔다고 합니다.
그 후 더운 여름이 시작되고 온갖 새들이 꽃을 찾아 모여든 소화의 처소 담장에는 조금이라도 더 멀리 밖을 보려는 듯, 발자국 소리에 귀를 쫑긋 세우는 듯 한 꽃잎을 넓게 벌인 꽃이 피었으니 이것이 바로‘능소화’라고 합니다. 이 때문인지 능소화는‘구중궁궐의 꽃’이라고도 전해지고 있답니다.
'잡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있는 귀뚜라미 울음소리 (0) | 2008.11.05 |
---|---|
세금 내는 나무 (0) | 2008.11.05 |
고등어의 새끼는 고도리! (0) | 2008.11.04 |
문학상식- 문학기네스북^^~ (0) | 2008.03.21 |
이사 시 필요한 체크 리스트 (0) | 2008.03.07 |